사회복지실천론 2020년 A형 - 사회복지실천론 기출문제(3문항)
페이지 정보
본문
댓글목록
복지학개론님의 댓글

Q. 생태도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정답 : ⑤
<생태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주요 내용>
① 에너지 흐름 : 관계의 방향성과 강도(지지적, 갈등적 등)를 화살표나 선의 형태로 표현함.
② 스트레스가 되는 체계 : 관계가 갈등적일 경우, 생태도에서 파선(---) 등으로 표시되어 나타남.
③ 자원 교환 정도 : 강한 지지, 중간, 약한 연결 등으로 관계의 질과 자원교환 정도를 시각화함.
④ 환경체계 변화 필요성 : 어떤 외부체계가 도움이 안 되거나 부정적 영향을 줄 경우, 개입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음.
Q. 다음 중 1차 현장이면서 이용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 정답 : ②
① 장애인복지관(이용시설, 1차 현장), 보건소(의료시설로 사회복지 1차 현장 아님)
② 노인복지관(이용시설, 1차 현장), 지역아동센터(이용시설, 1차 현장)
③ 아동양육시설(생활시설), 사회복지관(이용시설)
④ 노인요양시설, 장애인공동생활가정: 둘 다 생활시설
⑤ 정신건강복지센터(이용시설이지만 보건-의료계 연계가 강함), 학교(사회복지사 상주 아님)
Q. 브론펜브레너(V. Bronfenbrenner)가 제시한 생태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정답 : ①
① 미시체계 (Microsystem) : 개인이 직접 접촉하고 상호작용하는 일상적 환경(가족, 친구, 학교, 직장)
② 중간체계 (Mesosystem) : 미시체계 간의 상호작용(예: 부모와 교사의 소통, 가정-학교 관계)
③ 외체계 (Exosystem) : 개인이 직접 관여하지 않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부모의 직장, 지역사회 자원, 언론)
④ 거시체계 (Macrosystem) : 사회 전체의 문화적 가치, 법, 이념, 제도 등(국가정책, 경제체제, 사회규범)
⑤ 시간체계 (Chronosystem) :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사건(이혼, 기술 변화, 역사적 사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