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검색
  • RSS
전체 46건 1 페이지
  • 공지
    2025년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 선정 현황 공고
    “2025년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이란, 사회복지학과 전공 학생들이 실습을 통해 현장 경험과 실무 능력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공식 지정 기관입니다.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은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제3조의2에 따라, 사회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한 실습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격 요건을 갖추고, 지정 및 등록된 기관입니다. 작성일2025-06-20 17:20 분류공고 조회수1,850  담당자 이원재 담당부서복지정책과 전화번호044-202-3022…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5 조회 30 추천 0 비추천 0
  • 공지
    2025년 사회복지사 인건비 가이드라인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은 사회복지사 및 시설 종사자들의 급여 기준을 공무원 보수 인상률(3%)에 맞춰 권고한 공식 기준입니다.1. 근거법 :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 제3조 및 그 시행령2. 주체 : 보건복지부 처우개선위원회가 심의·의결 후 매년 발표 작성일2025-01-07 11:13 조회수95,558  담당자 박예윤 담당부서사회서비스일자리과…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5 조회 27 추천 0 비추천 0
  • 공지
    2025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2025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는 사회복지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하는 데 있어 필수적으로 준수해야 할 시설 관리 지침을 한 권의 안내서로 정리한 것입니다. 작성일2025-01-20 16:17 조회수43,788  담당자 박세화 담당부서사회서비스자원과…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5 조회 24 추천 0 비추천 0
  •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Adler's Individual Psychology상담학연구2006, vol.7, no.4, pp. 1093-1106 (14 pages)UCI : G704-001281.2006.7.4.010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연구분야 : 사회과학 > 교육학김미란 /Miran Kim 11목포대학교키워드격려, 아들러, 개인심리학, 사회적 관심, 자기존중감, 내적통제, 집단상담프로그램encouragement, Adler, individual psychology, social intrest, self-esteem, inner control, group counseling program.…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7-19 조회 17 추천 0 비추천 0
  • 칼 융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의 의미
    Meaning of Self-cognition in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and Psyche by Carl Jung동서철학연구약어 : S.P.E.W2020, vol., no.97, pp. 283-310 (28 pages)DOI : 10.15841/kspew..97.202009.283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연구분야 : 인문학 > 철학진숙 /Jin Sook 11전북대학교초록이 글은 분석심리학의 칼 융(Carl Gustav Jung)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 즉 무의식의 의식화에 대한 의미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융과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에 대한 차이와 인격의 구조, 그리고 철학에서의 무의식의 인식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의 정신은 의식의 영역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의 정신, 마음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왜 알아야 하는지에 대해 밝혀야 한다.융은 전체로서의 인격을 ‘정신(psyche)’이라 부르며 현대에는 마음의 과학을 심리학이라고 하듯이 ‘마음(mind)’이라 한다. 여기에서 정신은 의식과 무의식 전체를 포함하며 우리가 속한 환경에 대해 조절하고 적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념은 융의 기본 사상인 인간은 본래부터 하나의 전체라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우리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전체성을 가지며 우리는 이 전체성을 분화시키고 발전시키는 것으로서 조화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화와 균형이 깨질 때 마음의 병이 생기며 삶은 빈곤해진다. 우리의 궁극적 목적은 잃어버린 전체성을 찾아 갈등이나 분열의 상황에서 우리의 정신을 강화하는 힘을 키우는 것이다. 이러한 힘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무의식의 의식화, 즉 자기인식의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먼저 프로이트와 융이 어떠한 방식으로 무의식의 개념을 밝히고 전개하는지 살펴 본 후 이를 토대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무의식은 어떤 의미이며, 왜 알아야 하는지 논의한다. 우리 삶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자기답게 사는 것, 즉 융이 강조했듯이 자기실현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지속적인 노력과 인내, 철학적 지혜가 절실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기다움 그리고 자기인식은 왜 중요하며 어떻게 인식되는지 모색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lf-cognition in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and psyche, i.e. the conscious unconsciousness suggested by Carl Gustav Jung of analytical psychology. First it will look at the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and the recognition of unconsciousness in the philosophy between Jung and Freud. Human psyche is beyond explanation through the concept of consciousnes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psyche and minds as a whole, we need to discover the meaning of unconsciousness and why we need to know it.Jung calls the entire personality 'psyche' and the science of mind is referred to as ‘psychology’ in modern times. In this sense, the psyche embrace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helps us to adjust and adapt to the environment in which we belong. This concept supports Jung’s basic idea which is the belief that a human being is inwardly whole. We humans are already inwardly focused by birth and branch out into and develop such wholeness and become harmonized. When harmony and balance are broken in this process, illness of the mind arises and life falls into poverty. Our ultimate purpose is to rediscover that wholeness which we have lost and build the strength to consolidate our psyche in a conflicting or disrupting situation. As a way to increase this power, we will discuss the meaning of Self-Cognition, that is, the conscientization of the unconsciousness.For this, we first examine how Freud and Jung unravel and develop the concept of the unconscious, and then discuss what the unconscious means to us living in the modern world and why we need to know about it. Our life of goal is to live our own life being oneself; as highlighted by Jung self-recognition is more important than self-realization. Thus, continuous effort, patience and philosophical wisdom are required. Therefore, it intends to investigate why being oneself and then achieving Self–Cognition are important goals for modern people and how they’re recognized.키워드무의식, 집단 무의식, 정신, 자기인식Unconsciousness, Collective Unconsciousness, Psyche, Self–Cognition…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7-19 조회 13 추천 0 비추천 0
  • 정신분석의 역사-분석이론의 진화를 중심으로
    History of Psychoanalysis-Focus on the Evolution of Theories신경정신의학약어 : 신경정신의학2010, vol.49, supplement 1 pp. 9-35 (27 pages)UCI : G704-001050.2010.49..003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연구분야 : 의약학 > 정신과학최영민 11인제대학교초록Psychoanalysis is a clinical therapy originally developed by Sigmund Freud for the treatment of the neuroses. Although the contemporary practice of psychoanalysis derives historically from Freud's original work, it has evolved greatly as with any discipline. Psychoanalysis had previously undergone several paradigm changes. As a result, clinical psychoanalysis has four conceptually separable perspectives regarding the functioning of human mind. Four psychologies currently significant in psychoanalytic theory are drive (id) psychology, ego psychology, object relations theory,and self-psychology. Each takes a somewhat different perspective on human psychological functioning, emphasizing differing phenomena. As a fifth paradigm of psychoanalysis, the introduction of intersubjectivity is an important facet in modern psychoanalysis. In this paper, the four psychoanalytic paradigms as well as intersubjectivity have been briefly reviewed. In addition, discussed within a historical frame of reference are the contributions of leading modifiers - Anna Freud, Hartmann, Spitz, Mahler, Jacobson, Klein, Fairbairn, Winnicott, and Kohut.키워드Psychoanalysis · History · Id psychology · Ego psychology · Object relations theory · Self-psychology · Intersubjectivity.정신분석·정신분석역사·이드 심리학·자아 심리학·대상관계 이론·자기 심리학·상호주관성 이론…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7-19 조회 16 추천 0 비추천 0
  • 인권 관점에서 살펴본 장애아동 학대 판례연구 - 성적 …
    아동과 권리약어 : J Children & Rights2024, vol.28, no.1, pp. 1-23 (23 pages)DOI : 10.21459/kccr.2024.28.1.1발행기관 : 한국아동권리학회연구분야 : 사회과학 > 교육학박연주 /Park, Yeon Ju 11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초록>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대와 관련한 판례를 내용 분석하여 재판과정에서 장애아동의 인권이 최우선 고려되는지를 살펴본 연구로 장애아동 인권과 관련한 정책적제언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방법: 이를 위해 학대유형은 성적 학대, 방임과 관련한 판례를 선정하여 각 판결 내용을 분석하여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거나 국제인권규약인 UNCRC와 UNCRPD 를 재판에서 인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결과: 그 결과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재판의 내용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판에서 국제인권규약인 UNCRC와 UNCRPD 규정을 직접적으로 인용한 판결문은 살펴볼 수 없었으나 장애아동의 인권에 대한 간접적 언급을 시사한 판결은 살펴볼 수 있었다.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법적 측면에서의 정책적 시사점과 입법적·행정적 측면에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regarding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whether their rights had been protected during the trial process.Methods: The current study chose court cases on sexual abuse and neglect to determine whether the cases considered children’s disabilities or employed the relevant human rights treaties, including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UNCRC) and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UNCRPD) as references to protect their rights.Results: Our findings were mixed in that some cases considered the abused children’s disabilities in relation to their rights while others cases did not. Notably, we observed no direct citations of the UNCRC or UNCRPD during the trials. However, indirect references to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 in the judgments.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judicial,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system.키워드 : 장애아동 학대, 장애아동 인권, 유엔아동권리협약, 유엔장애인권리협약, 판례Abuse of disabled children, Human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y, precedent…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7-02 조회 27 추천 0 비추천 0
  • 북한과 베트남의 가정 외 보호 아동 권리에 관한 법제 …
    통일과 법률약어 : unilaw2022, vol., no.50, 통권 50호 pp. 32-58 (27 pages)DOI : 10.36514/unilaw.2022..50.32발행기관 : 법무부연구분야 :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통일관계법박소영 /Park, So Young 11한동대학교 통일과 평화연구소<초록>이 글은 북한의 가정 외 보호 아동의 법제와 실태를 살펴보고 베트남의 아동관련법제와 비교하되 특별히 대안 양육 관련 조항에 주목하여 가정 외 보호 아동의 인권을 증진하기 위한 법적 개선 사항들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북한의 대안 양육의 주요 법적 근거는 「어린이보육교양법」, 「아동권리보장법」, 「가족법」, 「사회보장법」이며 주로 시설입소와 친족, 입양에 의한 대안 양육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북한의 「아동권리보장법」에서는 대안 양육 제공자로서 조부모, 형제자매, 후견인을 지정하고 있으나, 이들의 자격 기준, 권리와 의무가 명확하지 않아 베트남 법제에 명시되어 있는 규정과 같이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아동을 대리할 권한, 아동의 원가정으로의 복귀에 대한 규정 역시 새롭게 신설될 필요가 있다.북한은 「가족법」에 따라 주민행정기관이 후견인 지정을 결정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아동의 인권이 침해되는지에 대한 검증 방법이 부재하다. 또한 후견인의 의무 이행에 대한 감독을 하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아동의 연령, 성숙도 및 의견이 반영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규정이 없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도록 대안 양육 가정 및 시설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 규정 역시 신설될 필요가 있다.베트남은 대안 양육을 「아동법」이라는 단일법 내에서 아동의 권리로서 규정하고 있다. 대안 양육 시 아동의 연령과 성숙도 및 의견을 반영하고 대안 양육 제공자의 권리와 책임 및 조건의 엄격성, 아동 보호의 지속성 및 체계화, 대안 양육 환경과 제공자에 대한 평가와 모니터링에 관한 것들이 법으로 명시되어 있다. 대안 양육 입법의 궁극적 목적은 아동의 안정된 삶과 지역사회의 재통합에 두고 있다. 또한 가정환경을 상실한 아동이 원가정에서 분리되는 중대한 결정에 있어서 아동 최선의 이익에 입각하는 것을 우선에 두고 있다. 베트남의 법제가 주는 이러한 시사점들을 북한이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법제를 정비함으로써 가정 외 보호 아동들의 인권이 더욱 증진될 수 있기를 간절히 기대해본다.This article examines the actual situation and legal system for children deprived of their family environment in North Korea, and compares them with Vietnamese child-related legislation in order to suggest what needs to be improved legally.In North Korea, the legal ground concerning alternative care is provided in the Law on Educating and Rearing Children,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Children, the Family Law, and the Social Security Law.The alternative care methods mainly consist of care by blood relatives, institutionalization and adoptions. In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Children, there are articles about guardians, but the qualification standards and duties of guardians are ambiguous. In addition, there are no provisions on the authority to represent the child nor those regarding the process and requirement for the child’s return to the original family. Therefore, regulations for new guidelines about guardians, foster parents, and guardians in charge of alternative care need to be newly established and supplemented.According to the DPRK Family Law, it is stipulated that a resident administrative agency decides to appoint a guardian, and has to supervise the fulfillment of the guardian’s duties. However, there is no methods for verifying whether the rights and personality of a child are being violated in judicial procedures nor regula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child’s age, maturity and opinion are reflected, and thus these need to be complemented.New regulations compatibl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re required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living standards and protection of children in a social institution.In Vietnam, alternative care is defined as a child’s right within a single certain law called the Law on Children, which adheres to the principal of the priority in the child’s best interests when making the important decision of separating them from the immediate family. The chapter on alternative care of the Law on Children includes the reflection on the age, maturity and opinion of the child, the roles of parents and guardians,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alternative childcare providers,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lternative parenting, and the strictness of standards for caregivers.In addition, it includes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prevention, intervention, support methods, and alternative parent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ntinuity and systematization of child protect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alternative care legislation is to achieve stability and community reintegration for children growing in orphanages, foster homes, and social care facilities.By reflecting on these implications from the Vietnamese legal system, North Korea needs to reform and establish the law further to promote the the human rights of the children who are deprived of the family environment.키워드 : 대안 양육, 북한 아동권리보장법, 가정 외 보호 아동, 베트남 아동법, 베트남 대안 양육, 유엔아동권리협약, 길거리 아동, 꽃제비Alternative Care, DPRK Law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Children, Children deprived of family environment, Vietnam Law on Children,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Street children, Kkotjebi…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7-02 조회 19 추천 0 비추천 0
  • 한부모 가족과 복지 수준 인식에 관한 연구 - 양육비 …
    입법과 정책2025, vol.17, no.1, 통권 40호 pp. 63-91 (29 pages)DOI : 10.22809/nars.2025.17.1.003발행기관 : 국회입법조사처연구분야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이혜영 /HYE YEONG LEE 1 ,  박성태 /PARK SUNGTAE 21서울대학교2<초록>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의 복지 수준 인식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해 양육비 문제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재정패널 데이터를 활용 하여 성향점수매칭과 엔트로피 균형접근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혼 한부모 가족이 기혼 가정에 비해 복지 수준을 더 확대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주로 이혼 후 양육비 확보의 어려움과 교육비 부담 증가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요 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미성년자의 양육 받을 권리를 기본권으로 헌법에 명 시하고, 양육비 선지급 제도의 적정한 도입을 통한 안정적인 양육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양육비 지원을 위한 세제 혜택 확대 등의 입법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 였다. 더불어 이혼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 공적 개입이 필요하며, 양육비 확 보 문제를 사적 영역에서 공적 영역으로 전환하는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This study aim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child support issu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welfare perception among single-parent families. Using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s Fiscal Panel data, we employ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d the Entropy Balancing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 that divorced single-parent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a need for expanded welfare support compared to married households. This perception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difficulties in securing child support payments after divorce and the increasing burden of educational expense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minors' right to receive child support as a fundamental constitutional right and advocates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a government-initiated child support advance payment system to ensure a stable child-rear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legislative policy measures such as expanding tax benefits to support child support payments.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need for public intervention to ensure the economic stability of divorced single- parent families and calls for a shift in the responsibility for securing child support from the private to the public sphere.키워드 : 한부모 가족, 양육비, 교육비, 양육 받을 권리, 선지급 제도Single-parent Family, Child Support, Educational Expenses, Right to Receive Child Support, Child Support Advance Payment System…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7-02 조회 19 추천 0 비추천 0
  • 청소년의 흡연 행동 및 관련 인식에 대한 연구:연초와 …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25, vol.26, no.1, pp. 79-107 (29 pages)DOI : 10.21074/kjlcap.2025.26.1.79발행기관 :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연구분야 : 사회과학 > 심리과학김정원 /KIM JUNGWON 1 ,  이예주 /Lee YeJoo 2 ,  성용준 /Yongjun Sung 31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2고려대학교3고려대학교<초록>액상형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의 확산은 청소년 흡연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액상형 전자담배의 사용률은 감소하지 않고, 액상형 전자담배가 청소년 흡연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액상형 전자담배를 포함한 청소년 흡연에 대한 인식과 행동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흡연과 관련된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자는 맛과 가격을 구매 요인으로 고려하며, 온라인에서 더 쉽게 구매하였다. 또한, 연초 흡연자보다 유해성을 낮게 평가하고, 사회적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참여자는 현재 금연 캠페인의 실효성을 낮게 평가하였고, 담배 광고 노출은 흡연 행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또한, 청소년 흡연 행동, 특히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은 청소년의 부정적 심리 특성과 높은 연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광고 제한 등 액상형 전자담배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청소년 흡연 예방과 금연 유도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The proliferation of emerging tobacco products, including electronic cigarettes, has posed significant challenges to addressing the issue of adolescent smoking. This study investigates adolescents’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smoking, including electronic cigarettes, and identifies key associated factors. Results indicate that electronic cigarette users prioritize flavor and price when purchasing and find these products more accessible online. Compared to conventional cigarette smokers, they perceive smoking as less harmful and associate it with a more positive social image. Anti-smoking campaigns are regarded as less effective, while exposure to tobacco advertisements is closely related to smoking behaviors. Additionally, adolescent smoking, particularly the use of electronic cigarettes, is strongly associated with negative psychological traits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role of electronic cigarettes in lowering smoking initiation barriers among adolesc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necessity of regulations on electronic cigarettes, such as advertising restrictions, and discuss policy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dolescent smoking and promoting smoking cessation.키워드 : 청소년 흡연, 액상형 전자담배, 신종담배, 청소년 흡연 요인, 청소년 금연 정책Adolescent smoking, E-cigarettes, New tobacco products, Adolescent smoking factors,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olicies…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7 조회 22 추천 0 비추천 0
  • 청소년 흡연의 영향 요인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약어 : KJHP2007, vol.7, no.4, pp. 229-237 (9 pages)UCI : G704-001517.2007.7.4.002  발행기관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연구분야 : 자연과학 > 기타자연과학이홍자 /Lee Hung Sa 11대구한의대학교<초록>연구배경금연 운동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흡연이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흡연은 성인기 이후의 생활습관으로 형성되어 고혈압, 폐암 등 만성질환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청소년 금연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흡연 경험 및 흡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방 법조사대상자는 H군에 위치한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전수로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2003년 8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최종 1,167명의 설문지를 통계처리 하였다. 빈도와 백분율, t-test, chi- 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하였다.결 과대상자의 흡연율은 남자 17.0%, 여자 2.2%이었다. 성별, 학년, 종교, 어머니의 흡연, 형제의 흡연, 친구의 흡연 및 음주 경험에 따라 흡연 경험의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흡연경험에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흡연 의도로 나타났고, 흡연지식, 자기효능 및 자존감 등은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결 론본 연구 결과에서 남학생들은 여전히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다.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흡연을 시도하기 전 빠른 시기에 금연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금연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 대상에 흡연학생 및 그들의 부모, 형제, 흡연을 하는 친구를 포함시켜야 하며, 음주의 유해성을 교육내용에 포함시키고,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BackgroundThe smoking rate of high school students keeps increasing, and it has been pointed out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adolescents’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smoking experien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Methods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1,167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were recruited during August 1-November 30 in 2003.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nowledge about smok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tudents’ smoking experience and their intention of smoking.ResultsThe percentage of regular smoker was 17.0% in male, 2.2% in female.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to smoking were gender(Χ2=142.31, p<.01), grade(Χ2=8.97, p<.05), religion(Χ2=9.78, p<.01), mother’s smoking(Χ2=16.00, p<.01), grand-mother’s smoking(Χ2=5.66, p<.01), sibling’s smoking(Χ2=22.09, p<.01), friends' smoking(Χ2=197.20, p<.01). Intention of smoking(r=.51, p<.01), was strongly correlated to smoking experience. Knowledge about smoking(r=.10, p<.01) and self-esteem(r=.13, p<.01) were also weakly correlated to smoking experience.Conclusions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should involve students’ family members and/or friends who influence the students’ smoking experience, and the education program should include a strategies to increas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dolescent's drinking is associated with an elevated risk of smoking experience, so the program also needs to include some contents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and drinking.BackgroundThe smoking rate of high school students keeps increasing, and it has been pointed out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adolescents’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smoking experien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Methods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1,167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were recruited during August 1-November 30 in 2003.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nowledge about smok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tudents’ smoking experience and their intention of smoking.ResultsThe percentage of regular smoker was 17.0% in male, 2.2% in female.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to smoking were gender(Χ2=142.31, p<.01), grade(Χ2=8.97, p<.05), religion(Χ2=9.78, p<.01), mother’s smoking(Χ2=16.00, p<.01), grand-mother’s smoking(Χ2=5.66, p<.01), sibling’s smoking(Χ2=22.09, p<.01), friends' smoking(Χ2=197.20, p<.01). Intention of smoking(r=.51, p<.01), was strongly correlated to smoking experience. Knowledge about smoking(r=.10, p<.01) and self-esteem(r=.13, p<.01) were also weakly correlated to smoking experience.Conclusions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should involve students’ family members and/or friends who influence the students’ smoking experience, and the education program should include a strategies to increas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dolescent's drinking is associated with an elevated risk of smoking experience, so the program also needs to include some contents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and drinking.키워드 : 청소년, 흡연, 자존감, 자기효능adolescents, smoking, self-esteem, self-efficacy…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7 조회 20 추천 0 비추천 0
  • 『한국전쟁 체험담 집성』에 비친 6⋅25전쟁 시기 주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약어 : 복지질적연구2023, vol.17, no.2, pp. 5-29 (25 pages)DOI : 10.22867/kaqsw.2023.17.2.5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사회복지학일반 > 사회복지조사/분석최옥채 /Okchai Choi 11전북대학교<초록>이 연구는 『한국전쟁 체험담 집성』을 통해 6⋅25전쟁을 겪은 주민의 삶이 어떠했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2012-13년에 10권으로 만들어진 『한국전쟁 체험담 집성』에서 6⋅25전쟁 당시구술자들의 체험과 관련된 개념을 이끌어내 분석하고, 이 결과를 해석하였다.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5전쟁을 겪은 구술자의 경험은 1) 겪지 않으면 모를 비참한 생활, 2) 피난, 3) 여성이라서 겪은 특별한 경험, 4) 북한에서 피난한 사람의 경험, 5) 좌우충돌속의 혼란과 피해, 6) 개인의 처지에 따라 서로 다른 경험, 7) 마비된 정부 행정, 8) 휴전 후 생활 8개 주제로 드러났다.여기에서 사회복지의 함의를 보여주는 1) 겪지 않으면 모를 비참한 생활, 3) 여성이라서 겪은 특별한 경험, 6) 개인의 처지에 따라 서로 다른 경험 3개 주제만을 범주화하는 개방코딩을 통해 당시 주민의 삶을 해석하였다.이 결과를 바탕으로 6⋅25전쟁을 체험한 1) 주민의 외상, 2) 여성의 고통, 3) 처지에 따른 서로 다른 경험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idents’ life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light of The Collection of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The extracted concepts from narrator’s experience about the Korean War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open cording.The source material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llection which had been composed of 10 volumes during the years of 2012 and 2013.The narrators’ experience about the Korean War is thematically bound as follows: 1) unknown miserable existence without suffering; 2) refuge; 3) women’s special experience; 4) refugee’s experience from North Korea; 5) chaos and harm within collision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6) mutually different experiences by the individual situation; 7) paralyzed government; and 8) existence after armistice. Among the results, for the implications on social welfare 1) unknown miserable existence without suffering, 3) women’s special experience, and 6) mutually different experiences by the individual situation have been interpreted.Finally, the results are discussed with residents’ trauma, women’s torture, and mutually different experiences by the individual situation. Additionally, the limit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for following studies.키워드 : 한국전쟁 체험담 집성, 6⋅25전쟁, 주민의 삶, 구술자, 사회복지The Collection of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Korean War, Residents’ Life, Narrator, Social Welfare…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6 조회 25 추천 0 비추천 0
  •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2025, vol.39, no.1, 통권 69호 pp. 137-170 (34 pages)DOI : 10.35147/knpsi.2025.39.1.137발행기관 :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연구분야 : 사회과학 > 행정학 > 분야별행정 > 경찰행정이수현 1 ,  조영오 21경기대2경기대<초록>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청소년 범죄 연구에서 많이 사용된 요인(가정학교친구요인)뿐만 아니라 사이버 환경특성을 반영한온라인 요인(오픈채팅, 온라인상에서 낯선사람과 대화, 낯선 사람과 대면)이 디지털성범죄의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초중고 학교급별로 디지털 성범죄의 가해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3,78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디지털 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생님과의 애착, 오픈채팅 요인이 디지털 성범죄의 가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학교급별 디지털 성범죄의 가해에 미치는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초등학교집단에서는 일탈 친구, 온라인상에서 낯선사람과 대화 요인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나타났고, 중학교 집단에서는 선생님과의애착과 오픈 채팅 요인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고등학교 집단에서는 성별(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선생님과의 애착 요인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를 이해함에 있어 가정, 학교, 친구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사이버 환경특성 요인 또한 고려해야 하고, Thornberry의 상호작용이론에서 주장하듯 청소년 시기에 따라 디지털 성범죄 영향요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nline factors as well as family, school and peer factors on digital sexual offences.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digital sexual offences by school level. Using data of 3, 789 adolescents, colle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a serie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ttach[ment to teachers and open chatt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digital sexual crimes. Furthermo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deviant friends and communicating with strangers online were significant factors of digital sexual offenses for the elementary school group, while attachment to teachers and open chat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middle school group, and gender and attachment to teachers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high school group.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he cyber environments in addition to factors such as family, school, and peer related factors to better understand adolescent digital sexual offending. The findings further supported Thornberry's interactional theory, which posits that the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may differ across the stage of adolescence.키워드 : 디지털 성범죄, 온라인 성범죄, 청소년 성범죄, 학교급별 차이, 디지털성범죄 설명요인:Digital sexual offending, Online sexual offending, adolescent sexual offending, differences by school level, Explanatory factors for digital sexual offences…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5 조회 24 추천 0 비추천 0
  • 지역의 주거 안정이 청소년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
    환경디자인과 안전약어 : 한국셉테드학회지2012, vol.3, no.1, pp. 67-87 (21 pages)UCI : G704-SER000004193.2012.3.1.002  발행기관 : 한국셉테드학회연구분야 : 복합학 > 학제간연구백승엽 1 ,  이주락 /Julak Lee 2 ,  박현호 /Hyeon-ho Park 32경기대학교3용인대학교<초록>이 논문에서 저자들은 지역의 주거 안정과 청소년 범죄와의 관련성을 연구 하였다. Shaw와 McKay가 주장한 사회해체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을 바탕으로 미국 로스앤젤레스 주변의 지역이 연구의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사용된 데이터는 “Los Angeles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로서 미국 로스앤젤레스 시 안에 있는 837개의 지역들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결 과에 따르면, 지역의 주거 안정은 청소년 범죄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해체이론의 다른 두 가지 요소를 상징하는 변수들 즉, 가난과 흑인 주민의 비율은 청소년 범죄율에 영향을 주었다. 향후 연구에 는 데이터에 부족했던 정보를 보완하고 청소년 범죄가 일어나는 복잡한 상황 들을 더욱더 고려하여 복합적인 변수들을 분석에 포함시켜 진행되어야 할 것 이다. 반면, 이용이 없는 옥상 및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관리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In this article, the authors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tability of a neighborhood and juvenile crime. With the theoretical basis of Shaw and McKay’s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the neighborhoods in the Los Angeles areas are examined with the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 d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le impact of residential stability of a neighborhood on its delinquency rate is inconsequential while variables including poverty and percentage of black residents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The authors concludes with a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to supplement the data with missing information and consider more complex contexts in which juvenile crimes are committed.키워드 : 주거안정, 사회해체론, 청소년 범죄, 사업개선지구, 인종Residential Stability,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Juvenile Crime,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 Race…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5 조회 19 추천 0 비추천 0
  • 동아시아 복지체제의 특수성: 독립적인 동아시아 복지체제…
    한국사회정책약어 : KSPR2015, vol.22, no.3, pp. 303-335 (33 pages)DOI : 10.17000/kspr.22.3.201509.303UCI : G704-001902.2015.22.3.008  발행기관 : 한국사회정책학회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학 > 의료/복지/사회정책정연택 /Chung, Yun Tag 11충남대학교<초록>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에 주안점을 둔 논문으로 동아시아 복지체제의 특수성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초점을 서술한 후 다양한연구자들의 주장을 90년대 이전과 이후, 동아시아 복지체제를 부정하는 연구, 동아시아 국가의 특성을 국제정치경제학적 또는 생산체제론적 시각에서 다른 국가군과 비교한 연구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대체로 동아시아 복지체제론의 해석적 유용성에 대해 부정적인데, 첫째, Esping-Andersen는 복지체제 구분 기준을 복지내부적 요인에서 찾았지만 동아시아 복지체제론에서는 주로 복지외부적 요인을 강조하여 독립적 ‘복지체제’라 하기 힘들며, 둘째, 복지체제 구성 원인에 대해서 계급관계를 주장한 Esping-Andersen과 달리 동아시아 복지체제론은 권위주의 정치체제를 비롯한 다양한 요인들을 들어 특수성의 배경이 불명확하다. 셋째, 국제정치경제학적 시각에서 사회경제적 요인과 정치체제 요인을 고려한 다른 개발도상국과의 비교가 없이 동아시아 국가만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특수성을 인정하기힘들며, 넷째, 민주화나 복지개혁이 있은 90년대 말 이후 시기와 이전 시기를 동일 선상에서보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비판하였다. 연구자는 이외에도 경제성장이 국가 최고의 목적이라는 생산주의 또는 발전주의의 특성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도 나타난다는 점, 사회정책 발달과 경제성장의 선형 관계적 전제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 등을주장하며 동아시아 복지체제의 특수성이 더 이상 수용되기 힘들다고 주장하였다.This study aims to advance debates on an separate East-Asian welfare regime. For this, I set research themes which could help systematically analyze the studies of an independent East-Asian welfare regime protagonists and opponents with an accent o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1990s and o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In discussion, I reconstructed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mes and argued that the hermeneutical advantage of an independent East-Asian welfare regime is very limited: Firstly, while Esping-Andersen sought the criteria of welfare regime in welfare- internal factors, the protagonists of East-Asian welfare regime sought them mainly in welfare-external factors. Secondly, the causes of welfare regime construction are not clear enough. Thirdly, there is little comparison with underdeveloped(non-core)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Fourthly, it is not appropriate to equate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1990s, when democratization and extensive welfare reform took place. Besides, I argue that ‘productivist’ policies can be found not only in East-Asia and that the preposition social (welfare) development is proportional to economic growth could be false. Therefore, I argue that an independent East-Asian welfare regime or peculiarities of East-Asian welfare system can be hardly accepted any more.키워드 : 동아시아 복지모형, 동아시아 복지체계, 사회복지 발달론, 생산체제, 복지체제East-Asian welfare model, East-Asian welfare system, theory of welfare development, production regime, welfare regime…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5 조회 20 추천 0 비추천 0

회원로그인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