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 참여주체, 정보수집,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사회복지연구
2013, vol.44, no.4, pp. 287-320 (34 pages)
DOI : 10.16999/kasws.2013.44.4.287
UCI : G704-000143.2013.44.4.001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서인해 /Seo, In Hae 1 , 공계순 /GyeSoon Kong 2
1한림대학교
2호서대학교
<초록>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관련 학문이 도입된 지 2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된 이론연구의 추가적인 현장 조사 연구로서, 사회복지기관들의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이 우리나라 실천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연구 분석틀은 3가지 분석영역인 개발활동참여주체(누가), 개발활동에 활용된 지식(무엇으로), 개발활동 과정 지속성(어떻게)이며, 이러한 3가지 영역 속에 들어있는 두 가지 대칭적 활동경향을 토대로 구성된 4가지 개발활동의 경향성, 즉 지식주도형, 현장중심형, 통합형, 무관심형이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복지관에서 두 곳의 외부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지원·선정되어 수행된 220개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례이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책임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최종분석에는 196개의 사례가 포함되었으며, 통계분석으로서는 실태분석에 적용되는 기술 분석기법들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현장의 사회복지 기관들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 다양한 특징과 경향성들이 발견되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는 대체로 정보수집활동은 보편적 정보보다는 지역적 정보를 더 많이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관외부 관련자들 보다는 기관내부 종사자들이 더 높은 참여활동을 하고 있으며, 기획단계뿐만 아니라 집행과정에서도 지속적인 개발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활동의 3가지 영역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을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통합형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무관심형, 현장중심형, 지식주도형 순서로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 대한 실천 및 정책적인 함의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As almost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oreign knowledg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introduced to the field of social work in Korea, the study was undertaken to describe the approaches of the social work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in Korea in terms of (1) who are involved, (2) what kinds of information are collected, and (3) how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are interrelated. On the basis of the three foci,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identify the four types of the models, which were resulted from their theoretical study conducted in 2009.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each social worker in charge of developing the 196 social work programs implemented with financial assistance of the two main Korean funding organiza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the 196 cases; more local knowledge than universal knowledge, and more local participators than outside participators, continuity in the both processes of the design and the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most dominant approach in the cases is considered as the Convergent Model, which tends to develop a program in the combination of the knowledge and people oriented approaches. The second one is the Indifferent Model, which features less activities in utilizing knowledge, collaborating with local and outside participators, and interrelating activities in the processe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third one is the People Oriented Model, which focuses more on local knowledge, local people’s participation, and the development activitie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least dominant model is the Knowledge Based Model on universal knowledge, outside experts, and design oriented planning.
키워드 :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 경향성, 정보수집, 참여주체, 개발지속성.
social work program development. participation, inform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4 development activities models.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