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적 장애 용어의 인식 변화에 따른 국어사전의 기술 변화 양상 - 지적 장애와 자폐성 장애의 뜻풀이와 용례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복지학개론 작성일 25-06-23 17:03 조회 17 댓글 0

본문

한국사전학


2025, vol., no.45, pp. 169-202 (34 pages)


발행기관 : 한국사전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사전학

이현정 /Hyun Jung Lee 1 ,  이준환 /YI JUNHWAN 2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사전에 등재된 정신적 장애 관련 용어의 기술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지적 장애와 자폐성 장애의 뜻풀이와 용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정신적 장애는 외형상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해와 개념화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영역이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이 사전에 어떤 방식으로 수록되고 변화해 왔는지를 검토하는 일은, 언어가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금성판 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등 주요 국어사전을 대상으로 각 용어의 뜻풀이 변화와 용례 기술 방식을 비교 분석했다. 뜻풀이 분석 결과, 지적 장애는 ‘정신 박약’에서 ‘정신 지체’로, 다시 ‘지적 장애’로 용어 형태가 달라져 왔으며, 이는 장애에 대해 기존 용어에 대한 부정적 함의를 드러내면서 인식이 변화해 왔고 장애를 가리키는 표현도 보다 중립적이고 의학적인 데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재정립되어 왔음을 보여 준다. 특히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에서는 더욱 신속하고도 섬세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반면 자폐성 장애는 구성 요소인 ‘자폐’가 의미의 재정의를 거듭하며 변화해 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게 되었다. 즉, 조현병의 증상에서 유아기 정신 장애로, 다시 오늘날 발달 장애로 점진적으로 개념이 전환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개방형 웹 사전인『우리말샘』은 이러한 변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 진단 용어 중심의 표제어를 다수 등재했으며,『표준국어대사전』은 규범성을 바탕으로 이를 점진적으로 수용하고 보완해 나갔다. 용례 분석 결과, 지적 장애는 자폐성 장애보다 용례 수가 적었으며, 자폐성 장애 관련 용례는 병리적 은유에서점차 의학적 진단 용어 중심의 객관적 서술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분석 과정에서 일부 표제어의 뜻풀이와 용례에 차별적이거나 편향된 시각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그렇기에 국어사전의 정신적 장애 용어 기술 방식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그 방향성을 구체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descriptions of terms related to mental disabilities have evolved in Korean dictionaries, with a focus on the definitions and usage exampl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Mental disabilities are often difficult to identify externally, making them conceptually and socially more complex to define and understand. Therefore, investigating how such terms have been included and modified in dictionaries offers important insight into how language reflects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s major Korean dictionaries, including the Keumseong Korean Dictionary,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and Urimalsaem.

The analysis reveals that intellectual disability has undergone lexical replacement, from mental deficiency to mental retardation, and eventually to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change reflects a shift in social perception toward more neutral and medically appropriate terminology. In particular, expressions referring to individuals have been revised more promptly and with greater sensitivity. In contrast, the term autism has remained lexically consistent, though its meaning has evolved—from a symptom of schizophrenia, to a childhood psychiatric disorder, and ultimately to a developmental disorder as currently understood. Urimalsaem has actively reflected these conceptual shifts by including a broader range of diagnosis-based entries, whereas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has adopted such changes more gradually, in line with its normative editorial principles.

The analysis of usage examples shows that intellectual disability appears less frequently than autism, and that the latter has shifted over time from metaphorical, pathology-based connotations to more objective, diagnosis-oriented descriptions.

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s instances in which the definitions and examples of certain headwords reflect discriminatory or biased perspectiv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continuous critical examination of how terms related to mental disabilities are presented in Korean dictionari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clearer principles guiding future lexicographical practices.


키워드 : 국어사전, 지적 장애, 자폐, 장애 용어, 뜻풀이, 용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