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기 인도주의 구호단체 연구의 동향과 전망 - 중…
석당논총2025, vol., no.91, pp. 133-162 (30 pages)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연구분야 : 인문학 > 기타인문학한봉석 /HAN BONG SEOK 11국립부경대학교<초록>본고는 한국전쟁을 전후 해 내한하여 인도주의 구호를 행했던 중요 8개 단체에 대한 연구사 정리를 행하였다. 이는 기존 부산지역 인도주의 구호가 주로 아동구호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점, 인도주의 구호단체 연구가 종종 종교 및 사회복지 연구에 한정되는 한계를 넘어, 냉전사적, 역사적 접근을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다룬 단체들은 한미재단(Korean-American Foundation), 케아(C.A.R.E), 가톨릭구제위원회(Catholic Relief Service-United States Catholic Conference), 한국기독교세계봉사회(Korean Church World Service), 세계구호위원회(World Relief Commission)를 주로 다루고 루터세계구호, 메노파교도중앙위원회, 제 7일 안식일교를 부분적으로 다뤘다.한미재단은 한국전쟁기 의료 및 물자지원에 핵심적이지만, 자료가 분산적이며, 발굴 중에 있다. 초기의 집중적 연구 이후 현재 연구가 활발한 것은 아니다.케아, 혹은 주한 케아는 인도주의 구호 물류를 책임졌던 단체이다. 서울, 부산, 대구에 사무소를 두고 1950-60년대 재한 인도주의 구호의 물류 운송을 책임졌다. 최근 국내외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주로 냉전사에서 주목되는 형편이다.가톨릭구제위원회는 최근 아카이브가 새롭게 구축되는 형편이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종교적 활동상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 당시의 지원 규모, 활동상에 비해 후속 연구가 많지 않은 편이다.한국기독교세계봉사회는 가장 연구가 많은 영역이다. 또 산하에 여러 단체들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연구를 포괄하기도 쉽지 않다. 다만 사회복지, 종교, 역사학의 중요 학술용어가 충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리가 필요하다.세계구호위원회의 연구는 한국 내 종교와 반공주의, 미국 잉여농산물과 관계가 깊지만 연구가 그리 많지 않다. 향후 성결교회, 동양선교회 등의 활동상을 통해 좀더 규명될 필요가 있다.그 외 루터세계구호, 메노파교도중앙위원회, 제 7일 안식일교는 연구가 많지 않다. 하지만 이들 중 일부는 1960년대 이후 미국 잉여농산물을 통한 구호사업에 참여하지만 그 실상이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소결하자면, 현재까지 한국 내 인도주의 구호 연구는 시작 단계에 있다고 보여진다. 주로 종교 및 사회복지 연구가 주를 이루지만, 기초 단체에 대한 개별 분석도 부족하다. 또 냉전사적 접근도 부족하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향후 인도주의 구호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This paper reviews existing scholarship on eight major humanitarian aid organizations active in Korea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aim i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which has primarily focused on child relief or confined humanitarian aid studies within religious or social welfare perspectives, by adopting historical and Cold War-era approaches. The organizations discussed include the Korean-American Foundation, C.A.R.E., Catholic Relief Service-United States Catholic Conference, Korean Church World Service, and the World Relief Commission, with additional partial consideration given to Lutheran World Relief, Mennonite Central Committee, and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KAF was pivotal in providing medical aid and supplies during the Korean War, but research remains fragmented and in the early stages of archival discovery, with limited recent scholarly activity following initial concentrated research.CARE was responsible for humanitarian aid logistics, operating offices in Seoul, Busan, and Daegu and managing the distribution of relief supplies throughout the 1950s and 1960s. Recently,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ies on CARE have increased, primarily within the context of Cold War history.CRS archives are currently being reorganized. Earlier studies have mainly emphasized religious activities, with relatively few follow-up studies despite the significant scale and scope of its aid efforts during the Korean War.KCWS is the most extensively studied area but remains difficult to synthesize due to its various affiliated organizations. Moreover, its research involves overlapping key academic terminologies from social welfare, religion, and history, necessitating clearer categorization.Research on the WRC, which is deeply connected to Korean religious activities, anti-communism, and the U.S. surplus agricultural program, is limite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particularly through examining the activities of the Holiness Church and Oriental Missionary Society.LWR, MCC, and the SAC have limited existing scholarship. Some participated in relief programs involving U.S. surplus agricultural products post-1960s, but their activities remain understudied, underscoring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In conclusion, research on humanitarian aid in Korea is still in its initial stages, predominantly focused on religious and social welfare perspectives, and lacks in-depth individual organizational analysis and Cold War-era historical approaches. Future research must address these gaps to advance the field comprehensively.키워드 : 한미재단, 케아, 가톨릭구제위원회, 한국기독교세계봉사회, 세계구호위원회American-Korean Foundation, C.A.R.E, Catholic Relief Service-United States Catholic Conference, Korean Church World Service, Lutheran World Relief, Mennonite Central Committe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World Relief Com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