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검색
  • RSS
전체 46건 3 페이지
  • 노인 돌봄과 간호 문제의 역사와 전망
    Oughtopia (오토피아)약어 : OUGHTOPIA(오토피아)2022, vol.36, no.3, pp. 179-208 (30 pages)DOI : 10.32355/OUGHTOPIA.2022.02.36.3.179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최성민 /Choi, Sungmin 11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초록>20세기 이후, 병원에서의 환자의 돌봄은 직업적인 간호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노년의 환자들은 병원에서의 간호 대신 집안에서 가족에 의한 돌봄에 의존해왔다. 이것은 돌봄의 주체와 대상 모두에게 육체적, 정신적 피해가 커질 우려가 있고 전문적인 대처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요양시설은 노년의 환자를 위한 공간으로 등장했다. 하지만 요양시설의 거주자들은 요양이라는 이름으로 죽음의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코로나19 시기에는 요양시설은 가장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최근, 환자 돌봄 문제의 대안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확대되어 시행되고 있다. 중증 환자를 위한 전문적인 돌봄이라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환자나 보호자와의 소통 과정에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초고령화 시대에서 우리가 마주치게 될 돌봄과간호의 문제는 결코 나와 무관한 일일 수 없다. 돌봄과 간호의 문제는 미래에 더 심각해질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돌봄의 가치에 대해새로운 모색과 대안이 필요한 시점을 맞고 있다.Since the 20th century, patient care in hospitals has been performed by professional nurses. However, elderly patients have relied on family care at home instead of nursing in hospitals.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physical and mental damage to both the subject and the target of care, and there may also be a problem of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Nursing hospital or sanatorium has emerged as a space for elderly patients. However,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residents at nursing homes are doing nothing but waiting for the time of death in the name of recuperation. In the time of COVID-19, nursing homes are at the greatest risk. Recently,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has been expanded and implem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patient care problem. However, in many cases, problems a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patients or their family.The problems of caring and nursing that we will face in the era of superaging is becoming relevant to almost everyone. Therefore, we are at a point where we need a new reassess the value of caring and seek for alternatives.키워드 : 간호, 노인 돌봄, 요양시설, 돌봄 로봇,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코로나19Nursing, Senior Care, Nursing facility, Care Robot, Nursing Care Integrated Service, COVID-19…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6 추천 0 비추천 0
  • 조선시대 장애 복지법과 자립 정책
    민족문학사연구약어 : 문사연2024, vol., no.84, pp. 37-73 (37 pages)DOI : 10.23296/minmun.2024..84.37발행기관 : 민족문학사연구소연구분야 :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정창권 /Jeong, Chang-kwon 11고려대학교 문화창의학부<초록>본고는 조선시대 장애사를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한 역사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경국대전』을 통해 조선시대 장애 복지법을 살펴본 다음, 전근대 장애인의 기본적인 생존 방식인 자립주의 정책과 그들의 다양한 활동상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조선시대엔 장애를 단지 ‘병’으로 보았고, 그 정도에 따라 잔질, 폐질, 독질로 구분했다. 조선은 장애 개념과 복지를 국법인 『경국대전』에 명시할 정도로 국가적으로 제도화했다. 그렇다고 모든 장애인에게 무조건적인 복지를 베푸는 것이 아닌, 기본적으로 각자의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일을 하며 제힘으로 먹고 살도록 하는 자립주의 정책을 펼쳤다. 그와 동시에 장애보다는 개인의 능력을 더욱 중시함으로써 장애/비장애의 구분 없는 통합사회를 만들어갔다. 비록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긴 했지만, 조선시대 장애인이 사회 속에서 다양하게 활동하며 역사의 한 축을 이루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This paper is to lay the historical foundation for correctly interpreting the history of disability in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after examining the Welfare of Disabilities Act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Gyeonggukdaejeon』, the policy of self-reliance, which is the basic way of survival for the disabled in the premodern period, and their various activities were outlined.In the Joseon Dynasty, disability was regarded as a simple ‘disease’, and according to the degree, it was classified into Janjil(殘疾, a lingering disease in the body), Pyejil(廢疾, an incurable disease), and Docjil(篤疾, a highly critical disease). Joseon institutionalized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welfare nationally to the extent that it was specified in the national law 『Gyeonggukdaejeon』. However, rather than providing unconditional welfare to all disabled people, it basically implemented an independence policy that allowed them to work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live on their own. At the same time, by placing more importance on individual abilities than disabilities, an integrated society was creat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status, it was for that reason that the disabled in the Joseon Dynasty worked in various ways in society and formed an axis of history.키워드 : 독질. 폐질. 장애인. 『경국대전』. 장애 복지법. 자립주의. 통합사회Pyejil, Docjil, People with disabilities, 『Gyeonggukdaejeon』, Disability Welfare Act, Self-reliance, Integrated society…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6 추천 0 비추천 0
  • 한국 사회복지행정학의 역사적 평가와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2010, vol.12, no.1, 통권 28호 pp. 177-203 (27 pages)DOI : 10.22944/kswa.2010.12.1.007UCI : G704-000981.2010.12.1.001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김영종 /Young-Jong Kim 11경성대학교<초록>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행정학의 역사적 발달 과정을 조명해보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대두되고 있는 사회복지의 행정적 실천 과제들에 대응하는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사회복지행정학은 독특한 발달 과정을 겪어왔다. 학문적으로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복지학이 차지하던 위상과 역할의 변용에 수반되는 영향을 받아왔다. 1990년대 이후에는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의 행정 지식의 수요 증대로 인한 직접적 영향도 받아왔다. 현재 사회복지 실천 현장은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른바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에 의해 주도되는 일련의 민영화와 영리화, 준시장화(pseudo-marketization) 등의 접근이 사회복지 공급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공급 질서의 변화에 대해 사회복지학의 제반 영역들이 적절히 대응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패러다임적 변화 상황에서 핵심 지식을 공급해야 하는 사회복지행정학의 바람직한 변용은 치명적으로 중요하다. 이 연구는 한 학문 분야의 발달을 경로-의존적(path-dependent) 관점으로 파악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 사회복지행정학의 미래적 좌표와 과제를 (1) 이론체계적 과제 3가지, (2) 교육 과정의 정비 5가지 등으로 정리했다.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historical path followed by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KASWA), by which proposed are the future directions for social welfare administrative practices to be followed. KASWA in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the distinctive historical pathway. Academically, it's been influenced by the position and changing roles of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The direct impact has been given by the increasing demands of administrative knowledge from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Recently, the social welfare provision has been experiencing a fundamental reform. The so called 'new public management' prioritizes a series of movements including privatization, profit organization, pseudo-marketization, which cause devastating impacts on the overall social welfare practices. The various sectors of the academy of korean social welfare are responsible for adapting to this change. Especially, the main burden of it is given to KASWA which should prepare for the core knowledges of the administrative methods of this new provisional paradigm. This study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ath dependency theory. So, based on the historical pathway reviewed, this study provides the future directions of KASWA as follows : (1) Three assignments regarding theoretical systemic change, (2) five assignments regarding realign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키워드 : 역사, 사회복지, 행정, 학문, 교육, 한국history,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cademy, education, Korea…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5 추천 0 비추천 0
  • 한국전쟁기 인도주의 구호단체 연구의 동향과 전망 - 중…
    석당논총2025, vol., no.91, pp. 133-162 (30 pages)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연구분야 : 인문학 > 기타인문학한봉석 /HAN BONG SEOK 11국립부경대학교<초록>본고는 한국전쟁을 전후 해 내한하여 인도주의 구호를 행했던 중요 8개 단체에 대한 연구사 정리를 행하였다. 이는 기존 부산지역 인도주의 구호가 주로 아동구호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점, 인도주의 구호단체 연구가 종종 종교 및 사회복지 연구에 한정되는 한계를 넘어, 냉전사적, 역사적 접근을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다룬 단체들은 한미재단(Korean-American Foundation), 케아(C.A.R.E), 가톨릭구제위원회(Catholic Relief Service-United States Catholic Conference), 한국기독교세계봉사회(Korean Church World Service), 세계구호위원회(World Relief Commission)를 주로 다루고 루터세계구호, 메노파교도중앙위원회, 제 7일 안식일교를 부분적으로 다뤘다.한미재단은 한국전쟁기 의료 및 물자지원에 핵심적이지만, 자료가 분산적이며, 발굴 중에 있다. 초기의 집중적 연구 이후 현재 연구가 활발한 것은 아니다.케아, 혹은 주한 케아는 인도주의 구호 물류를 책임졌던 단체이다. 서울, 부산, 대구에 사무소를 두고 1950-60년대 재한 인도주의 구호의 물류 운송을 책임졌다. 최근 국내외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주로 냉전사에서 주목되는 형편이다.가톨릭구제위원회는 최근 아카이브가 새롭게 구축되는 형편이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종교적 활동상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 당시의 지원 규모, 활동상에 비해 후속 연구가 많지 않은 편이다.한국기독교세계봉사회는 가장 연구가 많은 영역이다. 또 산하에 여러 단체들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연구를 포괄하기도 쉽지 않다. 다만 사회복지, 종교, 역사학의 중요 학술용어가 충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리가 필요하다.세계구호위원회의 연구는 한국 내 종교와 반공주의, 미국 잉여농산물과 관계가 깊지만 연구가 그리 많지 않다. 향후 성결교회, 동양선교회 등의 활동상을 통해 좀더 규명될 필요가 있다.그 외 루터세계구호, 메노파교도중앙위원회, 제 7일 안식일교는 연구가 많지 않다. 하지만 이들 중 일부는 1960년대 이후 미국 잉여농산물을 통한 구호사업에 참여하지만 그 실상이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소결하자면, 현재까지 한국 내 인도주의 구호 연구는 시작 단계에 있다고 보여진다. 주로 종교 및 사회복지 연구가 주를 이루지만, 기초 단체에 대한 개별 분석도 부족하다. 또 냉전사적 접근도 부족하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향후 인도주의 구호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This paper reviews existing scholarship on eight major humanitarian aid organizations active in Korea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aim i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which has primarily focused on child relief or confined humanitarian aid studies within religious or social welfare perspectives, by adopting historical and Cold War-era approaches. The organizations discussed include the Korean-American Foundation, C.A.R.E., Catholic Relief Service-United States Catholic Conference, Korean Church World Service, and the World Relief Commission, with additional partial consideration given to Lutheran World Relief, Mennonite Central Committee, and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KAF was pivotal in providing medical aid and supplies during the Korean War, but research remains fragmented and in the early stages of archival discovery, with limited recent scholarly activity following initial concentrated research.CARE was responsible for humanitarian aid logistics, operating offices in Seoul, Busan, and Daegu and managing the distribution of relief supplies throughout the 1950s and 1960s. Recently,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ies on CARE have increased, primarily within the context of Cold War history.CRS archives are currently being reorganized. Earlier studies have mainly emphasized religious activities, with relatively few follow-up studies despite the significant scale and scope of its aid efforts during the Korean War.KCWS is the most extensively studied area but remains difficult to synthesize due to its various affiliated organizations. Moreover, its research involves overlapping key academic terminologies from social welfare, religion, and history, necessitating clearer categorization.Research on the WRC, which is deeply connected to Korean religious activities, anti-communism, and the U.S. surplus agricultural program, is limite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particularly through examining the activities of the Holiness Church and Oriental Missionary Society.LWR, MCC, and the SAC have limited existing scholarship. Some participated in relief programs involving U.S. surplus agricultural products post-1960s, but their activities remain understudied, underscoring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In conclusion, research on humanitarian aid in Korea is still in its initial stages, predominantly focused on religious and social welfare perspectives, and lacks in-depth individual organizational analysis and Cold War-era historical approaches. Future research must address these gaps to advance the field comprehensively.키워드 : 한미재단, 케아, 가톨릭구제위원회, 한국기독교세계봉사회, 세계구호위원회American-Korean Foundation, C.A.R.E, Catholic Relief Service-United States Catholic Conference, Korean Church World Service, Lutheran World Relief, Mennonite Central Committe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World Relief Commission…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22 추천 0 비추천 0
  • 일제강점기 장애인의 삶과 복지정책- 조선총독부의 장애인…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2025, vol., no.103, pp. 171-202 (32 pages)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연구분야 :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종교 > 원불교학오세영 /OH SE YOUNG 11원광대학교<초록>장애인의 역사는 역사 속에서 장애인이 어떠한 삶을 살았고, 사회적으로 어떠한 존재였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즉, 장애인의 삶과 사회적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 장애인의 역사라 할 수 있다. 또한, 장애에 대한 정의는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개념이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복지정책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장애인의 삶과 사회적 인식을 고찰하고, 이들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복지정책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리 민족에게 일제강점기는 고통의 시간이었지만, 장애인의 경우 더욱 극심한 고통을 겪어야 했다. 일제강점기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기본적으로는 쓸모없는 존재이자 놀림의 대상이었으며, 열등한 존재로서 제거되어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법적으로는 무능력하고 불완전한 존재로 규정되었으며, 조선총독부는 장애인을 구제와 통제의 대상으로 바라보았다. 이러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장애인복지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총독부의 장애인을 위한 복지정책은 지극히 미진한 것이었다. 장애인을 위해 독립적으로 제도화된 정책은 없었으며, 장애인은일반구제에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구제사업은 임시적이고 즉흥적인 성 격이 강했다. 결론적으로 현재 당면한 장애문제는 일제강점기부터 본격적으 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 시기에 오늘날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편견과 차별, 그리고 배제와 같은 부정적인 장애인식이 본격적으로 형성되 었던 것이다.The histor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o examine what kind of life they lived and what kind of social existence they were in history. In other words, examining the lives and social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be their history.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is a concept that can vary depending on how you perceive it, and this change in perceptio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bring about a change in welfare polic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lives and social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discuss the welfare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 the Korean peopl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n era of pain, but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to suffer even more. During this period, social awareness of them was basically a poor and inferior being, a target of teasing, and an object that should be eliminated. They were legally defined as incompetent and incomplete,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viewed them as an object of relief and control. This perception also affected the welfare polic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welfare policy for the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extremely inadequate. There was no independent institutionalized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y were included in the general relief. Also, the relief project was temporary and spontaneou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current problems related to disability have been formed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negative disability perceptions such as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ere formed during this period.키워드 : 일제강점기, 불구자, 장애인, 제생원, 은사금, 공공부조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isabled, People with disabilities, Jesaengwon, Royal bounty, Public assistance…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9 추천 0 비추천 0
  • 장애를 역사화하기 - 한국 장애사 쓰기의 현주소와 과제…
    석당논총2025, vol., no.91, pp. 29-62 (34 pages)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연구분야 : 인문학 > 기타인문학김은경 /Kim, Eunkyung 11한성대학교<초록>이 연구는 개념, 재현, 경험을 중심으로 장애사 연구 현황과 성과를 밝히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장애 연구는 주로 의학 분야의 치료나 재활, 또는 사회복지학의 복지 정책과 관련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최근 인문․사회과학은 근대 권력이 병리화하고 타자화했던 장애인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는 근대의 정상/비정상, 장애/비장애 이분법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등장했으며 마이너리티 연구의 진전에 힘입은 것이기도 하다. 신유물론과 포스트휴머니즘과 같은 최근 철학적 사조의 변화 역시 장애 연구를 추동한 이론적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 역사는 아직 양적으로 많은 성과가 축적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역사, 문학, 미디어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등과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역사 지식의 관습적인 생산방식을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장애 역사는 장애인의 경험을 통해 사회적 차별을 입증하는 수준을 넘어야 한다. 기존의 ‘억압받는 피지배층’에 새로운 타자를 추가하는 데에 만족할 수 없다. 장애 역사는 장애인의 경험을 마이너리티 역사의 맥락에 배치하고 차이를 정치화하는 한편, 근대 신체 규율과 정상성을 해체하는 문제를 급진화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고통이 다른 사회적 범주(계급, 인종, 젠더/섹슈얼리티)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통찰을 발휘했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더 나아가, 장애인/비장애인, 인간/비인간적 타자의 이분법을 해체하고 그 상호 관계를 성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몸들을 횡단하고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을 가로지르는 장애의 경험은 인간주의를 넘어 새로운 역사의 세기로 인도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disability history research, elucidates its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and explores future directions for advancement. Historically, disability research has predominantly centered on medical fields, such a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r on discussions related to welfare services in social welfare studies. However, recent developments in the humanities, including history, have focused on the ways modern power has governed, pathologized, and oth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making their bodies subjects of control. This shift not only reflects a critique of the modern normal/abnormal and disabled/non- disabled binary but is also influenced by the progress of minority studies. Theoretical frameworks such as new materialism and posthumanism have also provided critical momentum to disability research.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hievements of disability history research by examining key areas: terms and concepts, representation, and experience. It considers whether the categor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a social construct formed in the modern era and investigates the presence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pre-modern times. The study also explores how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have been used as symbols of colonialism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disability research with postcolonial theory. Finally,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and ident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roposing approaches that move beyond singular identities to reveal intersecting experiences and social differences.This analys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xpanding disability history research beyond traditional discussions of treatment and welfare to include broader social and material contexts, using diverse academic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resources to pave new paths in the field.키워드 : 손상, 장애, 장애역사, 장애 연구사, 개념, 재현, 경험Impairment, Disability, Disability History, Historiography of Disability History, Concept, Representation, Experience…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5 추천 0 비추천 0
  • 아동·청소년을 위한 시설기준 기초 연구
    청소년시설환경약어 : 청소년시설환경2024, vol.22, no.3, 통권 81호 pp. 59-69 (11 pages)DOI : 10.55063/KIYFE.2024.22.3.6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연구분야 : 복합학 > 학제간연구송종무 /SONG, JONGMOO 1 ,  유진이 /Jeanie Yoo 21대전광역시청소년활동진흥센터2평택대학교<초록>우리나라의 아동·청소년정책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중심으로 하던 것에서 점차 모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인 정책으로 확장되고 있다. 아동(18세 미만)과 청소년(9세~24세)은 기존 개념에 따라 연령대가 겹쳐 정책 대상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아동 및 청소년 시설의 현황 분석 및 기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향후 새롭게 재정비될 아동 및 청소년 정책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할 시설 공간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아동 및 청소년 시설 공간의 현재 방향이 건강한 성장과 역량 개발에 중점을 두도록 하며, 동시에 전용 공간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회로 제공되었으면 한다.The child and youth policies in South Korea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children in need of protection. However, these policies are increasingly evolving into universal policies that encompass all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ren (under 18) and adolescents (ages 9 to 24) often overlap in age, resulting in policy targets being duplicated. Despite this,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standards of child and youth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facilities and spaces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future child and youth policies and to propose developmental strategies. Through this research, the goal is to ensure that the current direction of child and youth facilities focuses on promoting healthy growth and capacity development, while also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mprove and enhance dedicated spaces.키워드 : 아동, 청소년, 전용공간, 시설기준, 어린이집, 아동복지시설, 청소년수련시설child, youth, exclusuve space, facility standards, childcare center, child welfare institution, youth center…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6 추천 0 비추천 0
  • 아동 돌봄 정책이 부모의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
    입법과 정책2024, vol.16, no.2, 통권 38호 pp. 41-64 (24 pages)DOI : 10.22809/nars.2024.16.2.002발행기관 : 국회입법조사처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오유라 /Oh, Youra orcid 바로가기 11숙명여자대학교<초록>본 연구는 저출산 사회에 대응하는 아동 돌봄 정책이 양육자의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현재의 아동 돌봄 정책을 평가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서울복지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미취학 또는 취학 자녀가 있는 기혼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아동 돌봄 정책이 돌봄 부담이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 아동 서비스를이용하는 자가 이용하지 않은 자에 비해 돌봄 부담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아동 돌봄 정책의 지원 수준이 높다고 느낄수록 돌봄 부담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셋째, 취학 아동 서비스 기대감이 높을수록 돌봄 부담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돌봄 정책의 확대방향에 따라 돌봄 부담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디섯째, 통제변수로 투입된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가구소득, 근로시간이 돌봄 부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 돌봄 정책에 대해 논의하였고, 향후 아동 돌봄 정책 확대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child care policies responding to a low birth rate society actually affect the care burden of caregiver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2022 Seoul Welfare Survey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impact of care policies on the burden of care for married men and women with childre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ose who used school-age child services had significantly lower care burdens than those who did not.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support for care policies felt, the significantly lower the burden of care. Third, the higher the expectations for school-age child services, the higher the care burden was significantly. Fourth, the level of care burden vari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expansion of care poli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care policies that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the expansion of care policies in the future.키워드 : 아동 돌봄 정책, 돌봄 부담, 정책 영향 평가, 다중회귀분석Care Policy, Care Burden, Policy Impact Assess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7 추천 0 비추천 0
  • 자살 청소년 지인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 자살 …
    재활심리연구약어 : 재활심리연구2024, vol.31, no.3, pp. 131-155 (25 pages)DOI : 10.35734/karp.2024.31.3.007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연구분야 : 사회과학 > 심리과학이상하 /Lee, Sangha 1 ,  경서하 /Kyung, Seoha 2 ,  이동훈 /Lee, Donghun 31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2성균관대학교 SSK사업단3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외상심리건강연구소<초록>본 연구는 심리적 부검을 통해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살한 청소년의 지인 1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주요 범주와 16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요 범주는 '가족 갈등', '경제적 어려움', '성격적 특성', '자살 시도 및 자해 경험', '정신건강 문제', '학교생활 및 대인관계 문제'로 나타났다. 가족 갈등 범주에서는 부모와의 갈등, 가족 내 소외감,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 등이 청소년 자살의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성격적 특성에서는 소심한 성격과 낮은 자존감 등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살 시도 및 자해 경험은 자살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는 요소로 파악되었다. 정신건강 문제에서는 우울증과 정신적 외상 등이, 학교생활 및 대인관계 문제에서는 교사와의 갈등, 또래와의 관계, 학교폭력, 학업 스트레스 등이 청소년들의 자살 생각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하는 가운데 논의하였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using a psychological autopsy approac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individuals who were acquainted with adolescents who had died by suicide,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six major categories and 16 sub-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 major categories included: ‘family conflict’, ‘economic difficulties’, ‘personality traits’, ‘suicide attempts and self-harm experiences’, ‘mental health issues’, and ‘schoo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Within the family conflict category, significant risk factors identified were conflict with parents, feelings of alienation within the family, and psychological pressure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Personality traits such as timidity and low self-esteem were also key factors, while prior suicide attempts and self-harm experienc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risk of suicide. In the mental health issues categor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trauma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Additionally, in the category of schoo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conflicts with teachers, peer relationship issues, school violence, and academic stres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se finding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키워드 : 청소년, 자살, 질적 연구Adolescent, Suicide, Qualitative Research…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8 추천 0 비추천 0
  • 아동⋅청소년 자살고위험군 자살예방평가 및 프로그램
    재활치료과학약어 : TSNR2024, vol.13, no.3, pp. 37-50 (14 pages)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연구분야 : 의약학 > 작업치료학 > 신경계작업치료양정순 /Yang, Jeong-Soon 1 ,  우희순 /Hee-soon Woo 21익산시정신건강복지센터2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ksan<초록>우리나라 자살률은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 중 압도적 1위이며, 특히 아동⋅청소년들은 삶의 만족도가 낮고, 자살률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아동⋅청소년 시기는 어느 발달단계보다 격동적이고 충동적인 시기로 자살 그 자체가 치명적이고, 전염성이 높다. 또한 의미 있는 작업을 잃어버렸을 경우에도 자살률이 높은데, 이는 자살고위험군 아동⋅청소년도 마찬가지이다. 정신건강복지법이 개정되고, 정신건강전문요원에 작업치료사가 포함되기 시작하면서 정신건강서비스에 있어 작업치료를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 아동⋅청소년 자살을 막기 위한 선별도구로 자살사고척도(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Beck의 자살사고척도(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콜롬비아 대학 자살 심각성 평가 척도(Columbia-Suicide Severity Rating Scale), 청소년용 삶의 이유 척도(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Adolescents),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Screening Test)가 사용되었고, 작업치료평가도구인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도 사용되었다. 또한 다양한 학문과 기관에서 다양한 자살예방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자살고위험군 현실적 특성상 신속하고 적기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자살예방프로그램보다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으며 이 또한 대부분 인지행동적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아동⋅청소년 자살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들에게 다양한 자살예방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각기 처해 있는 실정에 맞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with increasing rates observed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low levels of life satisfaction. Patients in these age groups exhibit particularly turbulent and impulsive behaviors, which make suicide highly contagious and fatal. The loss of meaningful work or activities increases the risk of suicide, especially in young people. Following revisions to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2016), which has included occupational therapists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occupational therapy has been emphasized upon in mental health services. Screening tools for preventing suici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clude the Suicidal Ideation Scale, Beck's Suicidal Ideation Scale, Columbia-Suicide Severity Rating Scale, Reasons for Living Scale for Adolescents, and the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which is an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 is also used. Various suicide prevention programs have been proposed across academic disciplines; however, due to the urgent nature of high-risk groups, there is a need for timely services. Currently, most existing programs focus primarily on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troduce divers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with high-risk children and adolescents in order to equip them with the relevant information and help apply their learnings effectively in different situations.키워드 : 아동⋅청소년, 자살고위험군, 자살예방평가, 자살예방프로그램Children⋅adolescent, High-risk groups for suicide, Suicide prevention assessment, Suicide prevention program…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7 추천 0 비추천 0
  • 초고령사회 대비 노인복지법 전면개정의 방향성 탐색 연구
    사회복지법제연구약어 : 사회복지법제연구2024, vol.15, no.3, 통권 31호 pp. 3-24 (22 pages)DOI : 10.35589/SWLJ.2024.15.3.3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사회복지학일반 > 사회복지법제정순둘 /Soondool Chung 11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초록>본 연구는 인구고령화에 대비해 시대적 변화에 맞는 노인복지법 전면개정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1981년 제정되어 수십 차례개정을 거친 현행 노인복지법과 2020년 기동민 의원에 의해 발의되었던 노인복지법전면개정(안)의 내용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그 개정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문제점은 주로 노인복지법의 법적 지위 및 기본 철학, 법률 구성의 체계성, 법률 각영역의 쟁점, 그리고, 법 적용대상 및 새로운 시대상의 반영 등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현행 노인복지법은 노인복지기본법으로서의 위상이 분명하지 않고, 1981년 법제정이후 부분 개정만이 이루어져 법률의 구성이 체계적이지 못하며, 새로운 시대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2020년 전면개정(안)은 노인복지기본법으로서의 위상을 갖추고자 하였고, 법률 구성도 체계적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법의 기본철학에서 노인을 여전히 보호의 대상으로서 규정하고 있고, 새로운 시대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노인복지법이 기본법으로서 전면개정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direction for a full revision of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to reflect the societal changes in response to population aging. The current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which was enacted in 1981 and has undergone numerous partial amendments, and the 2020 full amendment proposal introduced by Assemblyman Ki Dong-min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issues and propos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vision. The analysis focused primarily on the legal status and foundational philosophy of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the systematic structure of the law, issues in each legal sub-domain, as well as the scope of beneficiaries under the law and its reflection of the changing society. The current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does not clearly establish itself as a fundamental law on welfare of older adults, and its composition is not systematic due to the series of partial amendments since its enactment in 1981, failing to reflect new societal changes. The 2020 full revision proposal aimed to establish the legal status as a fundamental law on welfare of older adults and proposed a systematic legal structure. However, the proposal still defined older people primarily as subjects of protection and did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evolving societal landscap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should be fully revised as a fundamental law in the near future.키워드 : 초고령사회, 노인복지법, 전면개정, 법적 지위와 철학Super-Aged Society,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Full Amendment, Legal Status and Philosoph…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6 추천 0 비추천 0
  • 초고령사회에 있어 국가의 역할과 노인복지
    한국과 세계약어 : 코아셈스2024, vol.6, no.5, 통권 23호 pp. 349-376 (28 pages)DOI : 10.22743/kwr.2024.6.5.349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연구분야 : 복합학 > 학제간연구이성호 /lee sungho 11경남정보대학교<초록>본 연구는 한국의 고령화 현황과 노인의 욕구 및 노인문제를 파악해 국가의 역할과 노인복지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구변화와 고령화 추세에 대한 통계청 데이터, 보건복지부, 국가인권위원회의 자료를 활용해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의 고령화는 OECD국가의 평균 고령화 속도보다 2-3배가 빠르다. 또한 2070년에 노년부양비는 100.6%로 증가하고, 노령화 지수는 620%로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나타나는 노인빈곤 문제는 적극적인 소득보장정책의 추진과 고령 친화적 주거환경 조성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또한 노인차별과 고령자 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홍보 및 학대행위에 대한 처벌의 강화가 필요하며, 신체적 노화를 보완할 수 있는 노인건강관리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노인의료-돌봄의 연계망을 구축해야 한다.This study is aim to identify Korea's aging status and senior citizen issues and suggest the role of the state and the direction of senior citizen welfare.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on population changes and aging trends. In fact, compared to OECD countries, Korea's aging rate is very fast, and the old-age dependency ratio and aging index are serious.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the elderly poverty rate, it was proposed to promote an active income guarantee policy and create an elderly-friendly residenti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ublicity and punishment for abuse to prevent discrimination and abuse of the elderly, and support for elderly health care that can compensate for physical aging is needed. Las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ink between elderly medical care and care for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키워드 : 초고령화사회, 국가의 역할, 노인복지, 노인차별, 노인학대super-aging society, role of the state, welfare for the elderly,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abuse of the elderly…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7 추천 0 비추천 0
  • 초고령사회 노인 능력 활용 방안 연구: 일본의 정년퇴직…
    미래사회약어 : 미래사회2025, vol.16, no.1, pp. 23-40 (18 pages)DOI : 10.22987/jifso.2025.16.1.23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연구분야 : 사회과학 > 기타사회과학박기훈 /pak ki hun 11서울사이버대학교<초록>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서 정년퇴직 후에도 노인이 일을 통해 계속해서 사회참여가 가능한방안으로 제시된 일본의 ‘삶의 보람 취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데있다. 이를 위해 삶의 보람 취로를 키워드로 하여 일본의 실버인재센터 삶의 보람 취로, 카시와형 삶의 보람 취로, 모자이크형 삶의 보람 취로를 문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용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는 실버인재센터의 삶의 보람 취로는 특정한 업무 능력이 있는 노인 중심으로참여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카시와형 삶의 보람 취로는 ‘work sharing’ 형태로 여러사람이 한 사람의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점, 실버인재센터의 삶의 보람 취로 보다 일하는노동시간을 줄였다는 점에서 후기고령자 인구 비율이 높은 초고령사회에서 주목할 만한 모델이다. 셋째, 모자이크형 삶의 보람 취로는 ICT 플랫폼을 통해 삶의 보람 취로 접근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향후 참여 노인이 증가하고 일할 기회가 다양해지게 되면 더욱 그 가능성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은 ‘삶의 보람 취로’를 어떻게 규정하고 어떻게 활용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삶의보람 취로는 여전히 그 성격이 애매하고 노인에게 삶의 보람 취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쉽지 않으나 초고령사회에서는 더욱 ‘일’을 통해 노인이 집 밖으로 나오게 할 가능성이 높은 삶의 보람 취로에 대해 연구를 지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llenges faced by Japan’s ‘Ikigai Shuro’(purposeful work for life), a proposed solution for helping the elderly maintain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ork after retirement in a super-aged society. Using Ikigai Shuro as the central keyword, this study conducts a literature-based analysis of three models: Silver Human Resource Center Ikigai Shuro, Kashiwa Ikigai Shuro, and Mosaic Ikigai Shuro. Th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First, the Silver Human Resource Center Ikigai Shuro model, which increas ingly emphasizes employment-like characteristics, appears to limit participation in elderly individuals with specific job skills. Second, the Kashiwa Ikigai Shuro model, adopting a ‘work-sharing’ approach, allows multiple participants to collectively perform a single task while reducing working hours. This model is a viable option in societies with higher pro portion of Old-old adults. Third, the Mosaic Ikigai Shuro model leverages ICT platforms to enhance accessibility to Ikigai Shuro, suggesting significant potential for increased partic ipation and diversified work opportunities as its adoption expands. The implications for our country suggesting the need for a more proactive approach for defining and utilizing pur poseful work for life(Ikigai Shuro). While the concept of Ikigai Shuro remains somewhat ambiguous and such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are challenging, it shows promise for en couraging them to engage in meaningful work and social activities. As super-aged soci eties continue to grow,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Ikigai Shuro to address the evolving needs of the elderly populations through purposeful work for lif.키워드 : 초고령사회, 후기고령자, 삶의보람취로, 워크세어링, ICT플랫폼.…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4 조회 18 추천 0 비추천 0
  • 정신적 장애 용어의 인식 변화에 따른 국어사전의 기술 …
    한국사전학2025, vol., no.45, pp. 169-202 (34 pages)발행기관 : 한국사전학회연구분야 : 인문학 > 사전학이현정 /Hyun Jung Lee 1 ,  이준환 /YI JUNHWAN 2<초록>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사전에 등재된 정신적 장애 관련 용어의 기술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지적 장애와 자폐성 장애의 뜻풀이와 용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정신적 장애는 외형상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해와 개념화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영역이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이 사전에 어떤 방식으로 수록되고 변화해 왔는지를 검토하는 일은, 언어가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금성판 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등 주요 국어사전을 대상으로 각 용어의 뜻풀이 변화와 용례 기술 방식을 비교 분석했다. 뜻풀이 분석 결과, 지적 장애는 ‘정신 박약’에서 ‘정신 지체’로, 다시 ‘지적 장애’로 용어 형태가 달라져 왔으며, 이는 장애에 대해 기존 용어에 대한 부정적 함의를 드러내면서 인식이 변화해 왔고 장애를 가리키는 표현도 보다 중립적이고 의학적인 데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재정립되어 왔음을 보여 준다. 특히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에서는 더욱 신속하고도 섬세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반면 자폐성 장애는 구성 요소인 ‘자폐’가 의미의 재정의를 거듭하며 변화해 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게 되었다. 즉, 조현병의 증상에서 유아기 정신 장애로, 다시 오늘날 발달 장애로 점진적으로 개념이 전환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개방형 웹 사전인『우리말샘』은 이러한 변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 진단 용어 중심의 표제어를 다수 등재했으며,『표준국어대사전』은 규범성을 바탕으로 이를 점진적으로 수용하고 보완해 나갔다. 용례 분석 결과, 지적 장애는 자폐성 장애보다 용례 수가 적었으며, 자폐성 장애 관련 용례는 병리적 은유에서점차 의학적 진단 용어 중심의 객관적 서술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분석 과정에서 일부 표제어의 뜻풀이와 용례에 차별적이거나 편향된 시각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그렇기에 국어사전의 정신적 장애 용어 기술 방식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그 방향성을 구체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descriptions of terms related to mental disabilities have evolved in Korean dictionaries, with a focus on the definitions and usage exampl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Mental disabilities are often difficult to identify externally, making them conceptually and socially more complex to define and understand. Therefore, investigating how such terms have been included and modified in dictionaries offers important insight into how language reflects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s major Korean dictionaries, including the Keumseong Korean Dictionary,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and Urimalsaem.The analysis reveals that intellectual disability has undergone lexical replacement, from mental deficiency to mental retardation, and eventually to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change reflects a shift in social perception toward more neutral and medically appropriate terminology. In particular, expressions referring to individuals have been revised more promptly and with greater sensitivity. In contrast, the term autism has remained lexically consistent, though its meaning has evolved—from a symptom of schizophrenia, to a childhood psychiatric disorder, and ultimately to a developmental disorder as currently understood. Urimalsaem has actively reflected these conceptual shifts by including a broader range of diagnosis-based entries, whereas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has adopted such changes more gradually, in line with its normative editorial principles.The analysis of usage examples shows that intellectual disability appears less frequently than autism, and that the latter has shifted over time from metaphorical, pathology-based connotations to more objective, diagnosis-oriented descriptions.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s instances in which the definitions and examples of certain headwords reflect discriminatory or biased perspectiv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continuous critical examination of how terms related to mental disabilities are presented in Korean dictionari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clearer principles guiding future lexicographical practices.키워드 : 국어사전, 지적 장애, 자폐, 장애 용어, 뜻풀이, 용례…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3 조회 17 추천 0 비추천 0
  • 일제강점기 장애인의 삶과 복지정책- 조선총독부의 장애인…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2025, vol., no.103, pp. 171-202 (32 pages)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연구분야 :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종교 > 원불교학오세영 /OH SE YOUNG 1<초록>장애인의 역사는 역사 속에서 장애인이 어떠한 삶을 살았고, 사회적으로 어떠한 존재였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즉, 장애인의 삶과 사회적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 장애인의 역사라 할 수 있다. 또한, 장애에 대한 정의는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개념이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복지정책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장애인의 삶과 사회적 인식을 고찰하고, 이들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복지정책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리 민족에게 일제강점기는 고통의 시간이었지만, 장애인의 경우 더욱 극심한 고통을 겪어야 했다. 일제강점기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기본적으로는 쓸모없는 존재이자 놀림의 대상이었으며, 열등한 존재로서 제거되어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법적으로는 무능력하고 불완전한 존재로 규정되었으며, 조선총독부는 장애인을 구제와 통제의 대상으로 바라보았다. 이러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장애인복지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총독부의 장애인을 위한 복지정책은 지극히 미진한 것이었다. 장애인을 위해 독립적으로 제도화된 정책은 없었으며, 장애인은일반구제에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구제사업은 임시적이고 즉흥적인 성 격이 강했다. 결론적으로 현재 당면한 장애문제는 일제강점기부터 본격적으 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 시기에 오늘날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편견과 차별, 그리고 배제와 같은 부정적인 장애인식이 본격적으로 형성되 었던 것이다.The histor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o examine what kind of life they lived and what kind of social existence they were in history. In other words, examining the lives and social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be their history.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is a concept that can vary depending on how you perceive it, and this change in perceptio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bring about a change in welfare polic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lives and social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discuss the welfare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 the Korean peopl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n era of pain, but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to suffer even more. During this period, social awareness of them was basically a poor and inferior being, a target of teasing, and an object that should be eliminated. They were legally defined as incompetent and incomplete,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viewed them as an object of relief and control. This perception also affected the welfare polic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welfare policy for the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extremely inadequate. There was no independent institutionalized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y were included in the general relief. Also, the relief project was temporary and spontaneou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current problems related to disability have been formed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negative disability perceptions such as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ere formed during this period.키워드 : 일제강점기, 불구자, 장애인, 제생원, 은사금, 공공부조…
    작성자복지학개론 시간 06-23 조회 22 추천 0 비추천 0

회원로그인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