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페어치 포털

웰페어치 포털

사회복지학의 모든것

제도이론

이론: 제도이론 연도: 1977
존 마이어(John W. Meyer)와 브라이언 로완(Brian Rowan), 폴 디마지오(Paul J. DiMaggio)와 월터 파월(Walter W. Powell) 등이 대표적 학자이며, 이 이론은 조직이 생존과 정당성 확보를 위해 환경의 규범과 기대에 순응한다는 것으로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합리적 행위자가 아니라, 사회적 맥락 속에서 정당성을 얻으려는 조직의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다.
[주요 내용]
1. 제도적 환경 : 조직은 기술적 환경(생산 및 효율성)뿐만 아니라, 법률, 규제, 문화, 전문직의 규범 등 제도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2. 동형화(Isomorphism) : 조직들이 환경의 압력에 따라 서로 비슷해지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디마지오와 파월은 동형화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 강압적 동형화(Coercive Isomorphism) : 법률이나 규제 등 외부의 강제적인 압력에 의해 조직이 변화하는 것.
- 모방적 동형화(Mimetic Isomorphism) :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성공적인 다른 조직을 모방하는 것.
- 규범적 동형화(Normative Isomorphism) : 전문가 집단의 규범이나 교육을 통해 공통된 가치관이 형성되어 조직이 유사해지는 것.
3. 정당성(Legitimacy) : 조직은 제도적 환경에 순응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그 결과 생존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이는 조직이 반드시 효율적이지 않더라도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면 생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출문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