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해비허스트
이름: 로버트 해비허스트
영문이름: Robert J. Havighurst
생애: 1900~1991
직업: 교육심리학자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은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 미국의 사회학자 및 교육학자이다. 이 이론은 기존의 '분리 이론(Disengagement Theory)'에 반대하며, 노년기에도 중년기와 비슷한 수준의 활동과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행복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해비허스트의 활동 이론은 다음과 같은 주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 지속적인 활동의 중요성 : 노인은 젊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다. 따라서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감소하는 역할(예: 직업 은퇴)과 활동을 새로운 역할과 활동(예: 봉사활동, 취미 생활, 새로운 학습)으로 대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자아 개념 유지 : 인간의 자아 개념은 자신이 맡는 역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노년기에 기존의 역할을 잃게 될 경우, 새로운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유지해야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 성공적인 노화의 조건 : 신체적 건강과 경제적 안정 등 여러 요소가 작용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활동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노인이 활동적인 생활을 지속할 때, 삶의 질이 향상되고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극복할 수 있다.
이 이론은 노인복지 프로그램, 여가 활동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노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
기출문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