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머튼
이름: 로버트 머튼
영문이름: Robert K. Merton
생애: 1910~2003
직업: 사회학자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구조기능주의의 주요 이론가이다. 그는 사회의 각 부분이 전체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설명하면서도, 기존의 기능주의 이론을 비판하고 보완했다.
머튼은 사회 시스템의 기능이 항상 긍정적인 것은 아니며,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보았는데 그는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핵심 개념을 제시했다.
- 기능(Functions) : 사회 현상이 사회 시스템의 안정성과 유지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학교육은 인재를 양성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기능을 한다.
- 역기능(Dysfunctions) : 사회 현상이 시스템의 안정성을 해치거나 혼란을 초래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학교육의 높은 학비는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역기능을 할 수 있다.
- 순기능(Non-functions) : 사회 현상이 시스템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무관한 결과를 낳는 경우를 말한다.
머튼은 사회 현상의 기능이 명확하게 드러나는지, 아니면 숨겨져 있는지에 따라 현시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으로 구분했다.
- 현시적 기능(Manifest Functions) : 사회 현상에 대한 참여자들이 의도하고 명백하게 인지하는 결과다. 예를 들어, 대학교육의 현시적 기능은 지식 습득과 학위 취득이다.
- 잠재적 기능(Latent Functions) : 사회 현상에 대한 참여자들이 의도하지 않고 인지하지 못하는 숨겨진 결과이다. 대학교육의 잠재적 기능으로는 동문 간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나 배우자 선택의 기회 증진 등이 있다.
머튼의 이론은 복잡한 사회 현상을 다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며, 현대 사회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출문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