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
정책: 근로기준법
지역: 대한민국
제정연도: 1953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향상시키며,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발전을 목표로 제정된 법률로 근로 조건의 최저 기준을 정해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계약을 강요하지 못하도록하는 '최저기준', 노동력을 제공하는 근로자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근로자 권리 보호',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사 갈등을 예방하고, 근로자의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함으로써 사회 전반의 안정에 기여하는 '사회적 안정', 헌법 제32조에 명시된 근로자의 권리(적정 임금, 근로 조건 기준 등)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법적 토대가 되는 '헌법 이념 구현'의 의의를 가진다.
기출문제 풀기